본문 바로가기
사소한 궁금증

데자뷰란? 이미 본 듯한 그 순간의 정체는?

by ttuksum 2025. 6. 18.
728x90

 

프랑스어 'Déjà vu',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일상 속에서 "어, 이 장면 어디서 본 것 같은데?"라는 기분을 느껴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처럼 처음 겪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이전에 이미 경험했던 것처럼 느껴지는
이상한 인지 현상을 우리는 '데자뷰(Déjà vu)'라고 부릅니다. 프랑스어로
직역하면 "이미 봤다"는 뜻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데자뷰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 다양한 시각에서 이해해보겠습니다.


데자뷰의 어원과 기본 개념

프랑스어 "déjà"는 "이미", "vu"는 "보다"라는 뜻을 가진 과거분사입니다.
두 단어가 결합해 "이미 본"이라는 의미가 되고, 영어권에서도
그대로 차용해 사용되고 있습니다. 데자뷰는 심리학과 신경과학에서
일종의 기억 착각 혹은 인지 왜곡 현상으로 분류됩니다.


언제 어디서 나타날까?

데자뷰는 특별한 상황이 없어도 발생할 수 있으며, 보통 피곤할 때,
스트레스를 받을 때, 혹은 일상적인 장소나 대화 중 문득 떠오르곤 합니다.
특히 젊은 층, 15~25세 사이에서 더 자주 보고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뇌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 걸까?

과학자들은 데자뷰가 뇌의 해마(기억을 담당하는 부위)와
측두엽 간의 소통 오류에서 비롯된다고 추측합니다.
실제로 새로운 경험이 마치 과거의 기억처럼 저장되어,
기억의 착각이 생긴다는 이론이 가장 유력합니다.

구분역할

해마 기억 생성 및 인출 담당
측두엽 감각 정보 처리, 언어 이해

꿈과 관련 있을까?

어떤 사람들은 데자뷰가 과거에 꾼 꿈과 연결되어 있다고 믿습니다.
무의식 중에 지나간 꿈이 현재 경험과 유사할 경우,
기억이 뒤섞이며 데자뷰로 느껴질 수 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이론은 아닙니다.


관련 현상들: 자메뷰와 프레스퀴뷰

비슷한 현상으로는 '자메뷰(Jamais vu)'와 '프레스퀴뷰(Presque vu)'가 있습니다.
자메뷰는 익숙한 것을 낯설게 느끼는 반대 개념이고,
프레스퀴뷰는 말이 혀끝까지 나왔는데 기억이 안 나는 상태를 말합니다.

현상명의미느낌

Déjà vu 이미 본 것 같은 느낌 익숙함
Jamais vu 전에 본 적 없는 것처럼 느껴짐 낯설음
Presque vu 기억이 날 듯 말 듯한 상태 답답함

공감각적 설명도 존재한다

한편, 시각, 청각, 후각 등의 감각 정보가 동시에 뇌를 자극하면서
기억이 무의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는 이론도 있습니다.
이러한 다중 감각 자극이 과거의 경험과 연결되며 데자뷰가
생긴다고 보는 관점입니다.


뇌의 시간차 반응 이론

뇌의 좌우 반구가 미세하게 시간차를 두고 정보를 처리하면서
한쪽에서 이미 본 것처럼 느껴지는 오류가 생긴다는 이론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도 실제로는 처음 보는 장면이지만, 시간 지연으로
'기억처럼 느껴지는' 인지가 발생한다고 봅니다.


데자뷰는 병일까?

데자뷰 자체는 질병이 아니며 대부분 일시적으로 지나갑니다.
하지만 간질이나 특정 뇌질환 환자에게서 반복적으로 강한
데자뷰가 나타나는 경우는 의학적 진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