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소한 궁금증

바리깡의 진짜 어원과 올바른 표현법

by ttuksum 2025. 5. 25.
728x90

바리깡이라는 단어는 한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발 기계의 별칭이지만,
그 어원을 둘러싼 오해가 많습니다. 특히 “일본어다”, “순우리말이다”는
주장이 엇갈리는데요. 실제로는 전혀 다른 유래가 숨어 있습니다.

바리깡은 왜 일본어로 오해되었을까?


바리깡이라는 단어는 발음이나 용례에서 일본어처럼 느껴지기 쉽습니다.
그러나 그 기원은 일본어 단어가 아닌 ‘브리캉(Burkhardt clipper)’이라는
프랑스계 독일 브랜드명에서 비롯된 외래어입니다.


외래 브랜드명에서 유래된 ‘바리깡’

프랑스계 독일 브랜드인 Burkhardt社는 20세기 초 이발용 기계를
아시아 시장에 유통했습니다. 일본과 한국에도 들어오며 'Burkhardt'는
현지식으로 ‘バリカン(바리칸)’이라 읽히게 되었고, 이게 곧 제품명처럼
자리 잡았습니다. 한국에서도 일본을 통해 들어온 이발기의 이름이
'바리깡'으로 고착된 것이지, 일본 고유어는 아닙니다.


“일본어 아니다”라는 주장과 실제 진실

많은 사람들이 “바리깡은 일본어니까 쓰면 안 된다”고 주장하지만,
사실 바리깡 자체는 일본에서 유래한 단어가 아니라 일본식 음차입니다.
마치 '냉장고'가 영어 'refrigerator'의 음차어인 것처럼요.
즉, 일본어 단어라기보다는 외국어 브랜드의 일본식 발음에 가까운 것입니다.


그렇다면 순우리말은 없을까?

바리깡을 대신할 순우리말은 공식적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 ‘이발기’ 혹은 ‘전기 이발기’처럼 기술적인 명칭을 사용합니다.
순우리말을 고집하기보다는 정확한 어원과 용도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제 용례: 언론과 제품 소개 속 바리깡

"전기 바리깡으로 셀프 이발을 했어요"
"바리깡이 고장 나서 미용실에 갔어요"

위 문장은 모두 비공식적이지만 일상 속 관용 표현으로 쓰입니다.
공식 문서나 상품명에는 ‘이발기’, ‘헤어 클리퍼’ 등 명확한 단어 사용이 권장됩니다.


오해를 바로잡는 표: 바리깡의 어원 정리

항목내용

발음 유래 Burkhardt → 바리깡(일본식)
최초 사용국 독일, 프랑스
일본 내 명칭 バリカン (바리칸)
한국 내 도입 20세기 초 일본을 통해 유입
올바른 용어 이발기, 전기 이발기, 헤어 클리퍼

결론: 단어의 국적보다 정확한 이해가 더 중요

바리깡은 일본어로 오해되기 쉬운 단어지만, 실제로는
프랑스계 독일 브랜드명에서 유래된 외래어입니다.
언어는 시간과 문화에 따라 바뀌며,
우리는 표현의 뿌리를 이해하고 바르게 사용하는 태도가 더 중요합니다.

 

728x90